2024. 9. 29. 20:03ㆍ흥미로운 수학 이야기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5차 방정식에서 근의 공식이 왜 존재하지 않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사실 제 수학 여정은 이 질문에서 시작되었는데요. 고등학교 시절 3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에 관심을 가지게 된 후, 자연스럽게 5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까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러나 5차 방정식에는 근의 공식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적잖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 이유를 알고자 했지만 당시의 지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었고,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수학 공부를 더욱 열심히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대학에서 수학과에 진학하여 '현대대수학'이라는 전공수학을 공부하면서 마침내 그 답에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이 블로그는 저와 같이 수학에 흥미를 가진 중·고등학생들이 제 글을 보며 수학적 의문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길 바라는 마음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최근에 이 주제를 쉽게 풀어낸 글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전공 지식이 없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 주제를 설명하려 합니다. 고등학교 시절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 마음에 남았던 만큼, 저처럼 이 주제가 궁금해서 찾아오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첫 번째 글인 만큼 공식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아벨-루피니$\text{(Abel-Ruffini)}$ 정리에 대해 간단히 소개만 드리겠습니다.
공식이란 무엇인가?
공식이란, 대수적 연산으로 유한하게 연결된 기본 함수(로그함수, 다항함수 등)들의 표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식들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Example 1. 2차 방정식 $ax^2 + bx + c = 0$의 근의 공식은
$$ x = \frac{-b \pm \sqrt{b^2 -4ac}}{2a} $$
이다.
Example 2. 자연수의 합 공식은
$$ 1 + 2 + 3 + \cdots + n = \frac{n(n+1)}{2} $$
이다.
이렇게, 사칙연산 또는 근호, 지수 같은 대수적 연산으로 유한하게 연결된 형태를 공식이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공식이 아닌 경우는 무엇이 있을까요?
Counterexample 1. 방정식 $x^5-x-a=0$의 근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x = \sqrt[5]{a + \sqrt[5]{a + \sqrt[5]{a + \cdots}}}
\]
이다.
여기서는 근호가 무한히 중첩되므로, 유한한 대수적 연산으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는 우리가 정의한 '공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아벨-루피니$\text{(Abel-Ruffini)}$ 정리를 소개하겠습니다.
아벨-루피니$\text{(Abel-Ruffini)}$ 정리
$a_n \neq 0$을 만족하는 다항 방정식
\[ a_n x^n + a_{n-1} x^{n-1} + \cdots + a_1 x + a_0 = 0\] 은 $n \leq 4$ 일 때만 일반적인 근의 공식이 존재한다. 즉 $ n > 5 $ 일 때는 일반적인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증명하고자 하는 정리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3,4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근의 공식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편하게 질문 주시면 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흥미로운 수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pi$)가 무리수인 이유 (1) - 아이반 니븐(Ivan Niven)의 증명 (2) | 2024.10.13 |
---|---|
5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없는 이유 (1) - 3,4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 (0) | 2024.10.01 |
$1^k + 2^k + 3^k + \cdots + n^k$의 공식을 구할 수 있을까? - $\text{Euler-Maclaurin}$ 공식 (0) | 2024.09.17 |
체비쇼프 다항식$(\text{Chebyshev Polynomial})$ (1) | 2024.09.17 |
대칭다항식의 기본 정리와 $\text{Waring's method}$ (1) | 2024.09.17 |